로고

국토부, 디지털 트윈국토+AI로 예측설계 정책 구현

국가공간정보위원회, ‘2025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수립

김영도 기자 | 기사입력 2025/05/02 [14:30]

국토부, 디지털 트윈국토+AI로 예측설계 정책 구현

국가공간정보위원회, ‘2025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수립

김영도 기자 | 입력 : 2025/05/02 [14:30]

▲ 국가공간정보위원회(위원장 국토교통부 박상우 장관)가 2일 10시 서울 정부종합청사 대회의실에서 위원장 주재로 열렸다(사진=국토교통부).  © 커넥트 데일리


(커넥트 데일리=김영도 기자) 자영업자가 유동인구에 대한 공간정보 데이터를 이용해 창업지를 스스로 정하고, 농민은 정밀기상과 지형 정보를 통해 수확을 보장받을 수 있는 맞춤형 영농 전략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릴 전망이다.

 

국토교통부가 국가 차원에서 고도화된 공간정보 기술을 통해 미래 사회의 안전하고 스마트한 국토를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국가 전략을 수립해 특화된 인공지능 기반의 ‘디지털 트윈국토’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혀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디지털 트윈 기술이 단순히 가상세계에 현실세계를 똑같이 구현하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생성형 인공지능을 적용해 보다 창의적이고 예측 분석이 가능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으로 진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가공간정보위원회(위원장 국토교통부 박상우 장관)가 2일 10시 서울 정부종합청사 대회의실에서 위원장 주재로 개최되어 디지털 트윈국토 조기실현을 위한 ‘2025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해 국토교통부가 발표했다.

 

국가공간정보위원회는 5년 단위 기본계획의 실행력 확보와 정책 일관성 확보를 위해 범부처 및 지자체로 구성되어 2015년부터 개최되어 오고 있으며 2018년 김현미 장관 주재로 열린 이후 디지털 대전환 시대로 접어들어 6년 만에 박상우 장관 주재로 개최돼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ChatGPT 등과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세계적인 기술 수요 증가와 급변하고 있는 기술 발전을 반영하듯 정부가 나서 국내 공간정보 분야에도 인공지능 기반의 디지털 트윈국토 시대를 열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디지털트윈은 현실 세계를 사이버상에서 현실처럼 구현하는 기술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도시행정, 스마트 관리, ESG경영, 기후변화, 재난재해 등 다양한 빅데이터를 활용해 시뮬레이션으로 과학적인 사전 예측으로 선제적으로 대응, 관리할 수 있다.

 


국민 누구나 쉽고 활용 가능한 공간정보로,

디지털 트윈국토 구축과 유통 및 활용 활성화 집중


국토교통부는 이러한 디지털 트윈 기술에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해 국민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국토 기반의 공간정보 안전복지 세상을 구현한다는 대명제를 안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5800억 원 규모의 재원을 투입해 공간정보 정책사업을 전격적으로 가시화한다.

 

먼저, 중앙정부 104개 사업에 약 3819억 원, 자자체 1105개 사업에 약 2019억 원을 각각 투자할 예정으로, 시행계획의 4대 전략별 중점 투자 분야와 주요 추진 사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트윈 구축 및 활용체계 마련에 68%의 예산과 54%의 사업이 집중되어 있고 유통 및 활용 활성화 전략에 19%의 예산과 44%의 사업이 분포되어 있다. 각 부처와 지자체가 디지털 트윈 구축과 유통 및 활용 활성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편성된 것으로 파악된다.

    

또 전략별로 디지털 트윈국토의 체계적인 확산과 융복합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데이터(DB)구축, 표준 마련 등에 3993억 원 규모의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더불어, 디지털 트윈 경쟁력 강화 사업(과기정통부, 61억 8천만 원),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을 개발하고 국제적인 협력 등을 추진하는 표준개발협력기관 지원 사업(국토부, 5억 3천만 원) 등이 편성됐다.

 

아울러, 공간정보 유통 및 활용 활성화를 위한 전략으로 고정밀 공간정보의 수집과 관리 및 유통을 지원하고,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한 플랫폼 개선, 유지 관리 등에 1095억 원 규모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특히, 국토교통부의 K-GeoP(‘P’ 플랫폼)과 대민 서비스 플랫폼인 브이월드(V-World)를 고도화하는 디지털 트윈국토 서비스 기반 구축 사업에 20억 6천만 원, 각 지자체별로 공간정보 시스템 및 주소정보 시스템을 고도화와 유지관리 사업에 총 311억 원 등이 편성됐다.

    

‘K-GeoP’은 65개 기관 107개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한 205종 1241건의 데이터를 통합 DB로 구축해 행정사무지원 및 공간정보 활용 서비스에 제공하는 플랫폼이고, 브이월드(V-World) 플랫폼은 K-GeoP가 수집한 공간정보 중 공개 가능한 정보를 연계해 공공과 민간에 API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신산업 창출을 지원하고 있다.

    

또 산업 성장과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고, 혁신기술 개발, 보안 규제를 비롯한 각종 제도개선 등을 위해 750억 원 규모의 사업비가 마련됐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매년 공간정보 산업 현황 전반을 파악하는 공간정보 산업조사(국토부, 2억 9천만 원), 공개제한 공간정보 민간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보안심사 및 안심구역 운영 사업(국토부, 3억 4천만 원), 해양 이용 및 개발 행위 등이 해양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 예측하기 위한 해양공간 디지털트윈 기술개발(해수부, 66억 7천만 원) 등에 각각 재원이 투입된다.

 

특히, 이번 발표에서 주목할 부분은 디지털 트윈국토 플랫폼 2단계 고도화 사업이 본격화된다는 점이다.

 

이번 고도화 계획에는 대용량 3D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와 활용 가능성이 높아진 시장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일보한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네이티브, 양자암호통신기술 등 최첨단 융복합 기술 적용을 마련했기 때문이다.

 

네이티브 클라우드는 시스템 단위가 아닌 서비스 단위의 자원 배분과 이용으로 사용량에 따라 시스템이 스스로 내부 자원을 개별적으로 배분하는 등 기존 클라우드 방식보다 유연성과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양자암호통신기술은 외부 접근에 민감한 광자(빛 입자)의 성질을 이용해 해킹과 도청 시도를 즉시 탐지하고 송수신자에게 알려주는 보안 기술로 최근 연이어 발생되고 있는 해킹 범죄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K-GeoP, 브이월드와 같은 공간 플랫폼 기술의 개선으로 공간정보의 정확성, 속도, 활용성이 향상된다”면서 “위성영상 등 대용량ㆍ공개제한 공간정보를 유통할 수 있고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공간정보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도 쉽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래 예측 가능한 사회로 진입


특히, 디지털 트윈국토 플랫폼 2단계 고도화 사업을 통해 Geo-AI가 플랫폼에 적용되면 단순히 지도 검색 기능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인공지능(AI)이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물을 생성해준다는 것이다.

 

공간정보와 관련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딥러닝을 통해서 다양한 공간정보 분석이 가능해져 공간정보에 특화된 인공지능(AI)으로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인구이동, 교통량 분석, 상권분석, 기후ㆍ환경 등 국민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각종 행정정보망 연결과 분석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들을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일반 행정사무에서도 드론 촬영 영상, CCTV, 환경 스캐닝 라이더 등 실시간 리모트 센싱을 통해서 얻어진 정보들을 AI가 분석할 수 있어 지자체 공무원의 신속한 현장 대응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며 규격화되고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서 초보자도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가 있다.

 

디지털 트윈국토 구현은 최근 지반침하 등 지하공간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지하공간 통합지도 개선방안을 올해 주요 추진 사업으로 삼아 지하공간의 안전까지 포괄하는 체계로 확장했다.

 

지하공간통합지도에 지반침하 이력, 공동정보, 건설공사 정보, 홍수ㆍ범람 이력 등 데이터를 연계하고, 지반 침하와의 상관관계 분석 등 지반 침하 위험 분석에 참고할 수 있도록 지하공간 통합지도를 고도화하고 정확도 개선을 위해 상하수도 시설물 실측을 위한 예산 지원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보안상의 이유로 종이지도로 제공되고 있었던 통합지도에 대용량 파일 전송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보안 솔루션을 적용해 종이지도가 아닌 온라인 데이터 파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 범부처 및 지자체로 구성된 국가공간정보위원회의 박상우 위원장(국토교통부 장관)이 디지털 트윈국토의 정책 방향성을 설명하고 있다(사진=국토교통부)..  © 커넥트 데일리

          

박상우 장관은 “공간정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로봇ㆍ도심항공교통(UAM) 등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고정밀 3차원 공간정보가 먼저 구축되어야 한다”면서, “디지털 트윈국토 등 공간정보 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통해 국민들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부와 민간이 함께 힘을 모을 것”이라고 밝혔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인물 포커스
메인사진
국토연 최경아 부연구위원, GeoAI 혁신 데이터 품질과 원천기술 확보해야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